소개
부모자녀 검사
우리 가족의 소통, 지금 얼마나 건강한가요?
목적
본 검사는 자녀가 일상적인 상황에서 부모의 태도와 관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측정하여, 관계 개선과 지도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합니다.
특징 및 활용
본 검사는 아동⋅청소년들이 삶을 살아가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심리적인 안정과 관계성을 익히고 습득하는 모델링의 원천인 부모 자녀 간의 관계를 측정
자녀와 부모 간의 관계에서 자녀가 평소에 느끼고 수용하는 과정을 진단하여, 생활 속에서 부모의 지도 방법을 통찰하도록 하고 변화와 성장을 촉진하고자 한다.
아동⋅청소년들이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인간관계의 첫 시작을 통해 자기 표상 및 대인 표상을 갖게 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동⋅청소년들이 집단에서의 친구관계나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가정 내에서 자녀들이 부모에게 안정감을 갖고 성장과 변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촉진적 관계 형성 및 격려 방안과 긍정적인 행동 조성 방법을 제공한다.
소규모 집단의 선생님이 아동⋅청소년을 지도할 시에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통해 아동⋅청소년을 사랑과 감사로 지도하는 방법, 아동⋅청소년의 긍정적인 행동 강화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검사 구성
욕구 수용형
자녀의 의견이나 감정, 욕구, 생각 등을 일방적으로 무시하지 않고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경청하여, 자녀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고 그에 대한 책임감을 갖도록 하는 유형
성취 지향형
자녀의 성공을 위해 계획한 목표를 위해서, 부모가 다양한 규범과 규제를 설정해놓고 지키도록 유도하고, 좋은 성적만을 기대하는 유형
능동적 격려형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부모가 자녀의 행동, 사고, 감정에 대해 긍정적인 격려를 제시하고, 자녀 스스로 모든 일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지와 관심을 보이는 유형
헌신적 사랑형
부모가 자녀의 기분과 감정을 수시로 살피면서 자녀의 욕구를 기대 이상으로 충족시켜 주고, 과하게 자녀를 보호하는 태도 및 아낌없이 사랑을 표현하는 유형
일관된 일치형
자녀와의 관계에서 일관성이 있는 언행일치와 함께, 부부간에 자녀를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 동일한 의견과 생각을 말하는 유형